top of page

대한화학회(KCS)에서 발행하는 '화학세계' 6월호에 안교한교수님 연구팀 글로벌 연구실에 대한 소개서 개제


캡처.JPG

대한화학회는 1946년 7월 7일 설립된 비영리 학술 단체로서 화학분야의 학술과 기술 발전, 교육 및 화학지식의 확산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있다. 현재 7,000여명의 회원이 대학, 연구소, 산업체, 초중고등학교 등에서 활동하고 있으며, 140여 단체 및 30여 개의 특별회원사가 참여하고 있는 주요한 단체이다. 이 단체에서 발간하는 월간지인 화학세계는 학회의 이름에 걸맞게 많은 과학 기술 및 정보의 공유를 목적으로 발행되고 있다. 이 월간지 '화학세계' 6월호에서 안교한 교수님 연구팀 글로벌 연구실을 소개하였다. 다음은 소개서의 첫 문단 일체이다.

암의 바이오마커(biomarker)인 원발암유전자성 타이로신 키나아제(protooncogenic tyrosine kinase: PTK)와 알츠하이머병(AD)의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 플라크(amyloid-β plaque: Aβ), 그리고 AD의 진행과 관련된 모노아민 옥시데이즈(monoamine oxidase: MAO) 효소의 활성을 효율적으로 감지하는, 단분자 프로브(small-molecule probe)의 창출과 이를 바탕으로 질병의 진단 및 영상화 기술 개발을 주된 목표로, 지난 2014년 11월 포항공과대학교 안교한 교수 연구팀은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 사업인 글로벌연구실(Global Research Laboratory: GRL)에 선정되어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.안교한 교수는 한국 측 책임 연구자(KPI)로서 단분자 이광자 흡수 형광 프로브(two-photon absorbing fluorescence probe)의 창출과 이를 바탕으로 질병의 진단 및 영상화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중이며, 폴란드 과학원(Polish Academy of Science)의 Daniel Tomasz Gryko 교수는 EU 지역 핵심 연구자(FPI)로서 이광자 흡수 물질의 개발과 응용 및 광 역학 치료용 물질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중에 있다. Gryko 교수는 EU 지역 TOPBIO(Two-Photon Absorbers forBiomedical Applications) Network의 부책임자로서 본 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EU의 여러 국가(프랑스, 영국, 덴마크, 독일, 이태리, 네들란드, 그리스, 에스토니아, 리투아니아)의 연구팀들과의 인적교류 및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. 한국 연구팀에서는 강원대학교 화학과의 이창희 교수 연구팀과의 광역학 치료용 물질의 개발과 응용에 관한 공동 연구 또한 수행중이다.

원문 링

http://www.kcsnet.or.kr/main/k_download/chem_download.htm?chempdf=5506031.pdf&chemyear=2015&chemmonth=06&chemvol=55

#KCS #대한화학회 #화학세계 #GRL #글로벌연구실 #질병진단 #영상화

Featured Posts
Recent Posts
Archive
Search By Tags
아직 태그가 없습니다.
Follow Us
  • Facebook Basic Square
  • Twitter Basic Square
  • Google+ Basic Square
bottom of page